건강을 위한 정보

우리 아이가 자꾸 손톱을 물어뜯어요: 왜 그런 걸까,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?

여기는랄라 2025. 5. 11. 14:14
320x100
반응형

 

 

아이들이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(손톱 물어뜯기, onychophagia)은 흔한 습관 중 하나이며, 대부분 3세 이후부터 시작되어 청소년기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. 이 행동은 단순한 버릇일 수도 있지만, 심리적 원인이나 스트레스의 표현일 수도 있어 주의 깊은 관찰과 적절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 아래에 그 이유, 문제점, 개선 방법을 정리합니다.


1.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이유

심리적 긴장과 스트레스

  • 불안, 긴장, 두려움 등의 감정을 해소하기 위한 자기 위안 행동으로 나타납니다.
  • 새로운 환경(입학, 전학, 가족 간 갈등 등)이나 학업 스트레스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주의력 부족이나 지루함

  • 집중할 일이 없을 때 무의식적으로 손톱을 물어뜯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TV를 보거나 책을 읽는 동안 등 손이 놀고 있을 때 반복되기 쉽습니다.

모방 또는 습관화

  • 부모나 또래 아이가 동일한 행동을 할 경우 따라하게 되며, 습관으로 굳어질 수 있습니다.

자기조절 미성숙

  • 감정을 말로 표현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이 아직 발달하지 않아 신체적 행동으로 표출됩니다.

2. 손톱 물어뜯기가 지속될 경우의 문제점

신체적 건강 문제

  • 손톱 밑에는 세균이 많아 입으로 가져갈 경우 감염(장염, 입병 등)의 위험이 있습니다.
  • 손톱 손상, 손가락 피부의 상처, 치아 손상(이갈이, 앞니 마모)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정서·행동적 문제 신호

  • 불안장애, 강박 행동(Obsessive-Compulsive Behavior)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어 전문가의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사회적 위축

  • 외형적으로 손톱이 손상되거나 주변의 지적을 받으며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고, 대인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3. 고칠 수 있는 방법과 접근 전략

원인 파악 및 스트레스 완화

  • 최근 환경 변화, 불안 요인, 감정 상태 등을 세심히 관찰해 원인을 파악합니다.
  • 정서적 안정을 위한 충분한 대화, 놀이, 휴식이 중요합니다.

대체 행동 제안

  • 손으로 할 수 있는 긍정적 활동(종이접기, 슬라임, 공놀이 등)을 권장해 손을 쓸 기회를 제공합니다.
  • 씹을 수 있는 건강한 간식(당근, 오이나 젤리 등)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.

행동 인식시키기

  • 아이가 언제 손톱을 물어뜯는지 자각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일기 쓰기, 표 만들기(언제, 어디서 물어뜯었는지 기록)를 통해 패턴을 분석하고 스스로 인식하게 합니다.

긍정적 강화

  • 물어뜯지 않은 날에 칭찬하거나 간단한 보상을 통해 성취감을 심어줍니다.
  • 단, 부정적인 말이나 강한 제재는 스트레스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.

조금 큰 아이이거나 어른의 경우에도 아직 자신도 모르게 물어뜯는 습관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요즘은 인터넷에서 쓴맛나는걸 바르거나 스티커를 붙이고 테이프를 감는 등 손톱뜨는 행동을 인식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제품들도 있습니다. 자신도 모르게 하는 행동의 경우에는 이런 제품의 도움을 받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  

300x250
반응형